많이 먹으면 석회화 vs 부족하면 골절 칼슘 대체 어떻게?

많이 먹으면 석회화 vs 부족하면 골절 칼슘 대체 어떻게?

많이 먹으면 석회화 vs 부족하면 골절 칼슘 대체 어떻게?

양압기 부담됐는데 이 약 으로 수면무호흡증 완화

최근 급격한 고령화로 골다공증 골절 발생률이 증가하고 있다.

골다공증 골절은 노인 삶의 질을 크게 하락시키고, 조기 사망 위험을 높인다.

초고령화에 대비해 골다공증과 이를 예방하는 생활습관에 대해 알아본다.

50세 이후 골량 감소, 80대는 고관절 골절까지

골다공증은 ‘뼛속에 구멍이 많이 생긴다’는 뜻으로, 뼈의 양이 줄어들고 약해져 골절 위험이 증가한 상태를 뜻한다.

골량은 30~35세부터 점점 줄어들며, 특히 여성은 50세 전후 폐경기에 들어서면 뼈가 생성되는 속도보다 파괴되는 속도가 빨라져 골량이 급격히 감소한다.

골다공증은 대개 증상이 없어 골절이 발생한 뒤에 깨닫는 경우가 많다.

외상이 없더라도 골밀도 소실로 척추가 체중을 지탱하지 못해 척추 앞부분이 주저앉아 키가 감소하기도 한다.

짧은 기간 키가 눈에 띄게 감소했다면 골다공증성 골절을 의심해 봐야 한다.

골다공증이 심하면 일상적 활동에도 쉽게 골절이 발생할 수 있으니, 바닥에 주저앉거나 무거운 물건을 드는 등의 동작을 주의해야 한다.

골다공증 진단은 ‘골밀도 검사(T-score)’를 통해 이뤄지며 골다공증 전 단계인 골감소증과 골다공증으로 구분한다.

대퇴부, 요추의 T-score가 –1.0 이상이면 정상, -1.0과 –2.5 사이라면 골감소증, -2.5 이하이면 골다공증으로 진단한다.

순천향대 부천병원 내분비대사내과 조윤영 교수는 “비교적 젊은 50~60대는 넘어지면서 손을 짚어 손목 부위 골절이 주로 발생하지만

70세 이상은 척추 골절이 주로 발생한다”며 “80세 이상에서는 척추 골절에 이어 고관절

골절 위험도 크게 증가해, 골절 후 장해 발생률 및 사망률이 증가한다”고 말했다.

짠 음식 피하고 커피는 두 잔 이하

골다공증의 주요 원인으로는 연령 증가와 폐경이 있다. 남성의 골다공증 유병률은 50대 약 3.5%에서 70대 이상 약 18%로 높아진다.

여성의 유병률은 50대 약 15%에서 70대 이상 약 68%로 급격히 높아진다.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젠이 골밀도 유지에 도움을 주기 때문에, 여성이 남성보다 골다공증 유병률이 3배에서 5배 높다.

그 외 가족력, 과음, 유년기 운동 부족, 갑상선 항진증, 부갑상선항진증, 당뇨병 등 내분비계 질환

약물, 비타민D 부족, 칼슘 섭취를 방해하는 소화기계 질환이 있는 경우 골다공증 위험이 높아진다.

조윤영 교수는 “연령 증가, 폐경, 가족력 등 골다공증의 주요 위험 요소들은 조절하기 어렵기 때문에

적절한 생활 습관 관리를 통한 골다공증 예방이 필요하다”며 “골량은 골감소가 시작되는 35세 이전에 최대한 늘려두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운동은 근력을 강화하고 균형감각을 키워 낙상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청소년기 이전의 운동이 성인보다 골량을 더 크게 높일 수 있다.

유산소 운동과 근력을 강화하는 저항성 운동을 병행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유년기에 체중을 싣는 운동, 줄넘기, 점프 등이 골밀도 증가에 도움이 된다.

성인에서도 여성의 폐경 이전과 이후 운동 효과가 급격히 차이가 나므로, 폐경 전 운동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뼈의 주요 구성 성분은 단백질과 칼슘이므로, 건강한 식습관 유지와 하루 2잔 이상의 우유 섭취가 골밀도 향상에 도움이 된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