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슴이 바위처럼 불어나 20대 초반 여성
가슴이 바위처럼 불어나 20대 초반 여성
임신 중 거대유방증이 발생해 양쪽 가슴 모두를 일부 절제할 수밖에 없었던 20대 여성 사례가 공개됐다.
에티오피아 아디스아바바 세인트폴병원 의료진은 처음으로 임신을 한 26세 여성 A씨가 임신 2개월 차에 거대유방증 때문에 병원을 찾았다고 밝혔다.
A씨의 가슴 크기는 각 25cm x 30cm에 달할 정도로 큰 상태였다.
A씨는 수술 치료를 미루고 만삭에 출산했지만, 안타깝게도 신생아 딸은 사망했다.
의료진은 이후로도 A씨의 증상이 지속돼 무려 3년간 이어졌다고 했다.
A씨는 어쩔 수 없이 양쪽 가슴을 모두 절제하는 수술을 받아야 했다.
다행히 수술은 성공적으로 끝났고 이후 피부 이식 등으로 유두와 유륜을 재건하는 수술까지 마쳤다.
A씨가 겪은 거대유방증은 환자 몸무게의 3% 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가슴이 과성장해 한쪽 가슴당 1500g 이상의 무게 감소가 필요한 경우를 말한다.
대부분 임신 중 빠르게 증상이 진행되고 분만 후 다시 가슴이 작아지는 경우도 있다.
세인트폴병원 의료진은 “임신 중 거대유방증이 생겼을 때 출산 후 자연적으로 해결되는 경우는 많지 않다”며 “대부분 외과적 치료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거대유방증이 생기는 이유는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다만, 임신 중 여성호르몬 에스트로겐 수치가 극적으로 늘어나는 것을 주요 원인으로 추정한다.
임신 중 거대유방증은 지난 1648년 처음 보고됐다.
지금껏 수술로 거대유방증을 치료한 사례 중 가장 많은 양의 유방 조직을 제거한 기록은 한쪽 가슴당 무려 27.5kg에 달한다.
거대유방증이 있으면 일상이 어려워진다.
어깨, 목, 허리, 등의 통증이 생기고 가슴 아래 피부에 염증이 발생할 수 있다. 두통과 피로감도 잘 생긴다.
외부의 노골적인 시선이 정신적인 괴로움으로 이어져 자신감 상실, 우울증 등을 겪기도 한다.
거대유방증은 대부분 가슴을 축소시키는 외과적 가슴 축소술로 증상을 완화한다.
가슴 축소술은 고난도의 수술 영역에 속해 의료진의 경험이 부족할 경우 합병증과 부작용 등의 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숙련된 전문의에게 수술받는 것이 중요하다. 전문의와 상담을 통해 환자 자신에게 어떤 수술이 알맞고 안전한지 결정을 함께 내리는 것도 필수다.
다만, A씨의 경우 유방뿐 아니라 겨드랑이까지 과도하게 커졌다.
A씨 진료를 담당한 의료진은 겨드랑이가 과도하게 커진 증상은 이전까지 문헌에 언급된 바 없는 최초 사례라고 설명했다.
이로 인해 명확한 원인 설명을 하지 못했다. 의료진은 A씨에게 지지용 브래지어를 착용하게 했고, 유방과 겨드랑이 피부 건강을 위한 크림을 처방하는 정도로 치료하는 데 그쳤다.
다행히 A씨는 임신 36주에 제왕절개를 통해 3kg의 건강한 아기를 낳았고, 분만 후 10일이 지난 날부터 겨드랑이 혹 크기가 점차 감소하기 시작했다.
분만 후 2개월이 지난 시점에는 유방 크기가 정상으로 돌아왔고, 겨드랑이 확대와 충혈도 거의 가라앉았다.
의료진은 “A씨의 경우 출산 후 2개월 만에 거의 완전하게 ‘자발적인 문제 해결’이 이뤄졌다”고 했다.
A씨는 “유방 절제술을 피해 만족한다”며 “유방 절제술을 받았다면 심리적 고통이 심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