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사마다 드러나는 의료 대응 한계 체계적 지휘 시스템 시급

참사마다 드러나는 의료 대응 한계 체계적 지휘 시스템 시급
참사마다 드러나는 의료 대응 한계 체계적 지휘 시스템 시급
생각보다 위험한 청결 관리 나이 들수록 주의해야 할 부위
우리나라에는 재난 의료를 총괄하는 컨트롤타워가 존재하지 않는다.
순천향대 부천병원 재난의학센터 센터장인 신희준 교수(응급의학과)는 이 문제에 대해 단호한 목소리를 냈다.
그는 국내의 재난 의료 체계가 사실상 ‘외면받는 영역’으로 남아 있다고 진단했다.
신 교수는 2022년 미국 보스턴 BIDMC 병원에서 재난의학 펠로우십을 수료한 후 귀국해, 국내 종합병원 중 세 번째로 재난의학센터를 설립한 인물이다.
그 배경에는 국내 대형 재난을 겪으며 느낀 깊은 무력감이 자리하고 있다.
신 교수는 현재 국내 재난의료 체계가 여전히 분절된 행정 구조 속에 머무르고 있다고 지적했다.
재난의 다양성과 고도화, 그러나 컨트롤타워는 부재
지난달 순천향대 부천병원에는 전 세계의 재난의학 전문가들이 모였다.
주제는 ‘전술적 대테러 및 화학·생물·방사능·핵폭발 대응 의료’로, 전문가들은 최근 테러가 점점 예측 불가능하고 잔혹해지고 있다는 점을 공감했다.
스웨덴 카롤린스카 연구소의 막시밀리안 P. 널랜더 박사는 과거에는 병원이나 학교는 공격하지 않는다는 암묵적 규칙이 있었지만,
요즘은 그렇지 않다며 드론이나 생화학 무기 등이 의료진과 아이들을 목표로 삼고 있다고 지적했다.
재난은 크게 자연재난과 사회재난으로 나뉜다. 지진이나 홍수 같은 자연재해가 자연재난이라면, 전쟁, 테러, 화학물질 누출, 선박 침몰, 대규모 밀집사고 등
인위적 원인에 의한 재난은 사회재난에 해당된다. 여기에 더해, 최근에는 이러한 재난들이 동시에 일어나는 ‘복합 재난’까지 증가하는 추세다.
하지만 국내 재난의료 대응 체계는 날로 복잡해지고 다양해지는 재난 상황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 신 교수의 설명이다.
그는 재난 현장에는 소방, 경찰, 군, 지방자치단체, 의료기관 등 다양한 주체들이 관여하게 되는데 이를 통제하고 조율할 컨트롤타워가 부재한 현실을 꼬집었다.
특히 환자를 살릴 골든타임 내에 의료진을 동원하고 투입하는 데 있어 제대로 된 지휘가
이루어지지 못한 점이 이태원 참사를 비롯해 이전의 여러 재난 현장에서 반복적으로 드러났다고 지적했다.
이태원 참사 당시를 보면 출동했던 재난지원의료팀(DMAT)은 현장에서 응급의료소 지휘 부족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
현장을 통솔할 보건소장의 늦은 도착으로 인해 상황 전파와 통제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사례를 들 수 있다.
담당 기관 간 책임 미루기가 문제의 핵심
신 교수는 이러한 문제가 이미 2012년 발생했던 구미 불산 가스 누출 사고에서도 마찬가지였다고 언급했다.
그는 당시 화학재난 대응 지침 연구를 맡으며 이 사고를 분석했다.
구미 사고는 2012년 구미시의 한 공장에서 약 5톤가량의 불산이 누출되어 5명의 근로자가 사망하고 18명이 부상을 입은 사건이다.
그는 당시 의료 현장에 구비되어 있던 해독제와 중화제가 적절히 사용되지 않았다며,
이 문제를 환경부에 알렸지만 환경부 측에서는 의료 분야는 담당하지 않는다며 보건복지부로 넘어가라 했다.
복지부에서는 해당 사항은 행정안전부 소관이라며 다시 돌려보냈고, 결국 환경부로 책임이 돌아가는 악순환이 이어졌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기관 간 책임 떠넘기기 속에서 의료 대응 능력은 후순위로 밀릴 수밖에 없었다는 것이 그의 지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