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 가르기 의사와 환자 사이 그 불편한 선
편 가르기 의사와 환자 사이 그 불편한 선
‘수치의 장벽(muro de la vergüenza)’은 페루의 수도 리마에 실존하는 만리장성 같은 긴 콘크리트 장벽이다.
30여 년에 걸쳐 만들어진 이 벽은 판잣집이 즐비한 빈민촌과 수십억을 호가하는 고급 주택이 늘어선 부촌을 가르고 있다.
판자촌이 늘어날수록 이 장벽도 계속 길어진 것이다.
3m가 넘는 담을 사다리를 놓고 올라가도 다시 철조망이 가로막고 있어 그곳을 넘어가는 것은 좀처럼 허용되지 않는다.
빈민가 사람들이 주거환경을 오염시키고, 절도와 약탈을 일삼을 것이라는 염려로 부촌에서 이 벽을 세웠다고 한다.
장장 그 길이가 10km에 달한다.
부자와 가난한 자를 나누는 이 장벽은 눈에 명확하게 보이니 어쩜 솔직해 보이기까지 한다.
우리 사회는 명확하게 보이지 않는 수많은 편 가르기의 선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아카데미상을 휩쓴 우리나라 영화 ‘기생충’에도 이런 선이 존재한다.
이 선에 대한 감독의 독특한 연출에 많은 사람이 찬사를 보낸 이유도
우리가 모두 이런 편 가르기의 선에 대해 너무나 잘 느끼고 공감하고 있기 때문이다.
사람 사는 곳이라면 누구에게라도, 언제, 어디든 이 선은 존재한다.
어쩜 편 가르기는 우리의 본능일 수도 있다.
사회생활을 하면서 자연스럽게 생기는 ‘집단’, ‘모임’, ‘클럽’, ‘회’, 등은 모두 우리의 끼리끼리 문화에 바탕이 된다.
좌파냐 우파냐 하는 정치성향, 종교색, 출신 지역, 성별 등 수 많은 요소가 여기에 기여한다.
대부분 한정된 자원에서 경쟁에 놓이게 되면 이런 집단의 편 가르기는 더 노골화되고
자신이 속한 집단이 유리해지기 위해 더 공고히 자신을 옹호하고 우월감을 표출한다.
끼리끼리는 불편한가?
끼리끼리, 장벽, 공포, 분단, 불통, 불평등, 절망, 불편함, 차별, 분리, 격리, 카오스…. 등 편 가르기의 이미지는 부정적인 것이 사실이다.
그런데도 우린 여전히 끼리끼리 모이는 것을 좋아한다.
그 가운데 생겨나는 소위 끼리끼리에 끼지 못하는 ‘왕따’는 없어질 수 없는 사회현상이기도 하다.
하지만 가만히 생각해보라. 인간관계에서의 끼리끼리는 사실 불편하지는 않은 것이다.
오히려 그 어딘가에 속해 있다면, 사실 그것이 훨씬 더 편하다.
“진정한 적(敵)이 없다면 진정한 친구도 있을 수 없다.
우리가 아닌 것을 증오하지 않는다면 우리 것도 사랑할 수 없다”.
마이클 딥딘(Michael Dibdin)의 소설 ‘죽은 늪(Dead Lagoon)’에서 베네치아의 민족주의 선동가는 말했다.
이런 이치는 인간관계에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인간이 죽네 사네 하는 그 사랑도 결국 ‘편 가르기’의 산물이 아니던가.
인간은 그렇다. 배타적 관심이나 이익을 줄 때 사랑과 정(情)이 생겨나는 것이지,
모든 인간을 사랑할 수 있는 것은 예수님 같은 성인(聖人)이나 할 수 있는 일이다.
그런 관점에서 보면 왕따는 꼭 나쁜 사람들이 저지르는 일이 아닐 수도 있다.
자기편 사람들에게 정이 많고 사랑이 흘러넘치는 사람일수록 왕따를 저지르기 쉬운 것이다.
대부분 왕따는 의도치 않게 일어난다는 것이다.
개인의 삶의 경쟁력은 어쩜 그런 왕따를 많이 저지를수록 강해질 수도 있다.
인간세계는 이토록 역설이고 비극적인 요소가 많다.
장벽보다 무서운 수치심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에게 있는 이 ‘장벽’을 부숴야 하는 이유가 있다.
이런 본능적인 편 가르기가 결국에는 인간의 ‘수치심’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리마의 판자촌 사람들이 가장 걱정하는 것은 아이들이 어려서부터 갖게 되는 수치심이라고 한다.
서울 강남의 고가의 아파트 내에 들어선 임대아파트는 사실 소셜믹스의 일환으로 지어진 것이다.
소셜믹스(사회통합. Social Mix)는 사회·경제적으로 배경이 다른 거주자들이 함께 사는 형태다.
같은 부지 내 동별로 배치하거나 모자이크 형식으로 임대주택을 섞어 놓기도 한다.
하지만 상생이라는 긍정적 기능을 접어놓으면 부정적인 면이 더 많이 부각돼 온 것이 사실이다.
상대적으로 저층으로 지어지거나, 다른 엘리베이터를 이용하고, 단지 내 커뮤니티 시설을 사용하지 못하게 하는 등
소셜믹스가 되레 차별을 부추기고 있다는 것이다.
이런 임대아파트에 사는 사람들이 걱정하는 것도 리마의 판자촌 사람들의 생각과 다르지 않다.
바로 자녀들이 가지게 되는 수치심인 것이다. 인간에게 수치심은 트라우마다.
아담과 하와가 계율을 어겼을 때 서로가 헐벗은 것을 알고 느꼈던 인간의 첫 번째 트라우마는 다름 아닌 바로 수치심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