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우 쏟아지는데 반지하에 있다 이 요령 알아둬야

폭우 쏟아지는데 반지하에 있다 이 요령 알아둬야

폭우 쏟아지는데 반지하에 있다 이 요령 알아둬야

가격 뚝 떨어진 수박 멜론 먹으면 어디에 좋을까?

전국에 강한 장맛비가 쏟아졌다. 지난 2일 오전부터 전국에 시간당 30~50mm의 강한 비가 내렸다.

또한 3일까지 서울 등 수도권에 최대 100mm 이상의 많은 비가 예상된다.

장마는 오는 7월 하순까지 이어질 것으로 예측된다. 폭우가 쏟아질 때 반지하에 거주하는 사람들은 특히 주의가 필요하다.

재작년 쏟아지는 물 폭탄에 반지하 집에서 일가족이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반지하는 한국에서 유독 발달한 건축물로, 절반 정도가 지면 아래에 있는 형태다.

1970년대 주택 방공호 개념으로 도입된 반지하는 거주 시설로 합법화된 지 50년이 돼 간다.

2020년 통계청에 따르면 지하 또는 반지하 거주 가구는 전국 32만7000가구, 그중 서울은 20만1000가구에 달했다.

2024년 3월 기준으로는 서울 반지하 가구가 늘어나 2만3104가구에 달한다.

이중 물막이판과 역류방지기 등 침수 방지 시설이 설치된 가구는 1만5100가구에 불과하다.

물막이판은 말 그대로 물을 막아주는 판으로, 반지하의 경우 창문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역류방지기는 변기 등 집 내부에 설치한다.

지자체가 설치 비용을 부담하지만, 집 주인의 동의 없이는 설치가 불가능해 30% 이상의 미설치 가구가 존재한다.

침수 방지 시설이 마련돼 있지 않은 집에서 호우가 쏟아질 때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물론 침수 이전 대피가 가장 중요하다. 비가 많이 내려 지하 공간 바닥에 물이 조금이라도 차오르거나 하수구에서 역류가 시작됐다면 즉시 대피해야 한다.

정강이 높이인 30~40cm 정도로 물이 유입돼도 성인이 계단을 오르기란 쉽지 않다.

침수 후 대피를 시작하면 늦었다고 말하는 이유다.​

물이 집 안으로 들어오고 있다면 출입문을 개방해 탈출구를 확보한다. 전기와 가스는 바로 차단한다.

집 밖으로 나올 때는 운동화를 신는 것이 대피에 용이하다. 장화와 슬리퍼는 피한다.

밖으로 나왔다면 계단을 올라야 하는데, 이동할 땐 난간 등 몸이 지지할 수 있는 것을 잡는다.

만약 출입문 개방에 실패했다면 절단기 등을 이용해 방범창을 잘라 탈출을 시도해야 한다.

이마저도 불가하다면, 119나 외부에 도움을 요청하고 사전에 준비해 둔 구명조끼 등을 활용해 구조를 기다린다.

이를 위해 미리 물 흡수 기능이 있는 모래주머니나 물에 뜰 수 있는 구명조끼 등을 구비해놓는 것도 중요하다.

어두운 밤이거나 혼탁한 물에 의해 시야가 흐릴 때는 보이지 않는 뾰족한 물체 등에 다치지 않도록 주의한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