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 갈등 초래하는 가장 큰 원인 다름 아닌 이것
가족 갈등 초래하는 가장 큰 원인 다름 아닌 이것
치매 운전자 50만 명으로 추정 운전면허 관리에는 구멍
가족 갈등을 유발하는 가장 큰 원인이 건강 문제인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대 사회복지연구소,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공동 연구팀은 2024년 2월 26일부터 4개월간 조사 대상 복지 패널 7821가구 중에서
조사를 완료한 7499가구를 대상으로 2023년 1년간 가족 내에서 발생한 문제와 가족 갈등 대처 방법을 2순위까지 조사해 분석했다.
분석 결과, “특별한 어려움이 없다”고 응답한 가구(53.81%)를 제외하고 나머지 가구를 대상으로 1순위로 응답한 항목을 살펴보면, 54.85%가
‘가구원의 건강’을 가장 큰 가족 갈등의 원인으로 꼽았다. 부채 또는 카드 빚 문제 같은 ‘경제적 어려움’이 18.19%로 그 뒤를 이었고,
‘가구원의 취업 및 실업’이 8.34%로 세 번째를 차지했다. 이어 ‘자녀교육 혹은 행동'(4.7%), ‘주거 관련 문제'(4.15%),
‘자녀의 결혼 문제'(3.74%), ‘가구원 간 관계'(2.92%), 기타(2.17%), ‘가구원의 알코올'(0.79%), ‘가족 내 폭력'(0.08%), ‘가구원의 가출'(0.07%) 등의 순이었다.
소득집단별로 살펴보면 ‘가구원의 건강’ 문제는 저소득 가구(중위소득 60% 이하)의 61.12%가 가족 갈등의 가장 중요한 원인으로 꼽아 일반 가구(43.39%)와 다소 차이를 보였다.
‘경제적 어려움’이 가족 근심의 원인이라는 응답 역시 저소득 가구는 20.17%로 일반 가구(16.93%)보다 높았다.
한편, 보사연은 다양한 인구집단별로 생활실태와 복지 욕구 등을 파악하기 위해 2006년부터 해마다 한국 복지 패널 조사를 하고 있다.
주변에 암 환자 한 명은 꼭 있다고 할 만큼 암 환자가 매년 증가하고 있다.
나이가 들수록 암이 더는 남의 일처럼 느껴지지 않는다. 최근 암 통계를 통해 암 발생 확률은 얼마나 될지 알아보자.
한국인 3명 중 1명, 죽기 전 암 경험
보건복지부와 중앙암등록본부는 국가암등록통계사업을 통해 수집된 우리나라 2019년 국가암등록통계를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 국민이 기대수명(83세)까지 생존할 경우 암에 걸릴 확률은 37.9%로 집계됐다.
성별로 보면, 남자(80세)는 5명 중 2명(39.9%), 여자(87세)는 3명 중 1명(35.8%)에서 암이 발생할 것으로 추정됐다.
암 발생률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2019년 신규 발생한 암환자 수는 25만 4718명(남 13만 4180명, 여 12만 538명)으로, 2018년(24만 5874명) 대비 8844명(3.6%) 증가했다.
전체 인구 10만 명당 연령표준화발생률(발생률)은 295.8명으로 전년보다 3.4명(1.2%) 증가했다.
성별로 보면, 남자 암 발생률이 2018년 대비 0.6명 감소했으나, 여자 암 발생률은 6.6명 증가했다.
여성의 경우, 갑상선암, 폐암, 유방암 등의 환자가 계속 증가하면서 전반적인 암 발생률이 증가했다.
위암·대장암 줄고 유방암·전립선암 늘어
최근 10년간 한국인의 위암, 대장암, 간암, 자궁경부암의 발생률이 감소추세이나, 유방암과 전립선암은 꾸준히 증가했다.
국가암검진사업 대상 암종인 6대 암(위암, 대장암, 간암, 폐암, 유방암, 자궁경부암)의 장기 추세를 보면, 위암,
대장암, 간암, 자궁경부암의 발생률은 최근 10여년간 감소 추세이다. 폐암은 유의미한 증감 추세를 보이지 않았다.
다만, 유방암의 발생률은 2001년부터, 전립선암은 1999년부터 증가하고 있다.
2012년부터 발생률이 감소했던 갑상선암은 2015년 이후 다시 증가 추세이다. 2019년에도 갑상선암 환자는 늘어, 2018년에는 갑상선암 환자가 1715명(5.9%) 증가했다.
암 환자 10명 중 7명, 진단 후 5년 이상 생존
암 발생률은 증가하지만, 암 생존자는 증가하고 있다. 최근 5년간(2015~2019년) 진단받은 암환자의 5년 상대생존율(생존율)은 70.7%로, 암환자 10명 중 7명은 5년 이상 생존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