촉촉한 공기 들이마셔야 폐도 건강해진다

촉촉한 공기 들이마셔야 폐도 건강해진다

촉촉한 공기 들이마셔야 폐도 건강해진다

힙업 운동 으로 요실금 예방 효과까지

공기 중 상대 습도가 폐 건강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기간 높은 습도에 노출된 경우 폐 기능은 증가했지만 짧은 시간 노출되면 오히려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순천향대서울병원 호흡기내과 윤희영 교수팀은 습도가 폐 기능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알아보기 위한 연구를 진행했다.

2016년부터 2018년까지 국민건강영양조사(KNHANES) 데이터를 이용해 상대 습도와 폐 기능, 호흡기 증상 간 연관성을 분석한 것이다.

연구팀은 40세 이상 성인 1만396명의 폐기능 검사 자료와 건강 설문지를 통해 호흡기 증상을 평가했다.

또한 상대 습도 및 기온, 미세먼지 등의 환경 데이터를 ‘CMAQ’ 모델을 활용해 참가자의 거주지와 연계했다.

분석 결과, 1년 이상 장기적으로 높은 습도에 노출된 경우 노력성 폐활량

(숨을 최대한 깊게 들이마셨다가 힘껏 내쉬게 해서 공기의 양을 측정하는 검사)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 14일 미만의 단기적인 높은 습도는 폐 기능의 일부 지표인 ‘1초 강제 호기량/노력성 폐활량 비율’을 감소 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높은 습도가 장기적으로 폐 조직을 보호할 수 있지만, 단기적으로는 폐 기능 저하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연구팀의 추가 분석 결과, 습도는 호흡기 증상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중기(90일~180일)의 습도가 높은 경우 만성 기침 및 가래 증상이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이에 대해 연구팀은 적절한 습도 유지가 기관지 점막을 보호하고, 호흡기 질환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것이라 설명했다.

윤희영 교수는 “대기 습도는 호흡기 건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질병과 증상에도 영향을 주기 때문에, 이를 명확하게 규명하기 위해 연구를 진행했다”며

“적절한 습도 유지가 폐 기능과 호흡기 증상 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어서

겨울철에는 가습기를 활용해 습도를 유지하고, 여름철에는 제습기를 사용하거나 환기를 자주 하는 것을 권장한다”고 말했다.

시간적 여유가 있다면 수영이 가장 좋은 운동이다.

제한된 호흡을 사용하기 때문에 일순간 최대한의 공기를 흡입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심폐지구력이 강화된다.

특히 관절에 큰 무리를 주지 않고 폐를 건강하게 만든다는 점이 매력적이다.

또 수영을 할 때는 항상 젖은 공기를 마실 수 있기 때문에, 폐를 촉촉한 상태로 유지시켜 준다.

폐는 촉촉할수록 기능이 정상적으로 유지된다.

평소 물을 많이 마시는 것도 폐 건강에 도움이 되는 이유다. 수영이 힘들다면 30분간 가볍게 걷는 것도 좋다.

걸으면서 들이마시는 공기는 심폐근육을 튼튼하게 만든다. 심폐근육이 튼튼해지면 심장과 근육에 산소를 더 공급하기 쉽게 만들어준다.

운동은 일시에 몰아서 하는 것보다 일주일에 2~3회 정도 꾸준하게 지속적으로 하는 것이 중요하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