힙업 운동 으로 요실금 예방 효과까지

힙업 운동 으로 요실금 예방 효과까지

힙업 운동 으로 요실금 예방 효과까지

피부과서 미용 시술 받던 30대 男 사망 수면마취 위험성

노인 여성 열 명 중 여덟 명은 ‘요실금’을 앓는다. 젊을 때 잘 관리하면 요실금 없는 두 명에 속할 수 있다.

방광을 잡아주는 ‘골반저근’이 약해지면서 요실금이 생기는데, 젊을 때 ‘둔근’을 단련해 골반저근의 혹사를 막으면 된다. 둔근을 단련하면 힙업 효과로 체형까지 교정할 수 있다.

‘요실금 예방 운동’ 세 번째는 ‘힙 익스텐션 운동’이다. 콰트 김규남 운동지도사 도움말로 알아봤다.

콰트는 필라테스, 스트레칭, 유산소·근력 운동 등 운동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건강관리 통합 플랫폼이다.

젊은 여성, ‘둔근’ 단련하면 요실금 예방 가능

둔근은 골반을 지탱하는 핵심 근육의 하나로, 이 근육이 약해지면 골반 전체가 불안정해진다. 덩달아 골반저근에 가해지는 부담도 커지면서, 요실금 발병 위험이 커진다.

또 골반 안전성이 떨어지면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기 어려워 배에 힘이 잘 들어가지 않는다.

재채기를 하거나 운동할 때, 배에 힘이 들어가지 않아 소변이 새는 복압성 요실금 위험도 커진다.

반면, 둔근이 강해지면 골반저근은 본연의 기능인 방광·요도 조절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연결된 코어 근육도 강화돼 복압 조절력이 개선된다.

둔근을 단련하면 엉덩이가 올라가 체형이 보완될 뿐 아니라, 균형 감각도 좋아진다.

엉덩이는 크기가 큰 근육이 모여있을 뿐 아니라, 상·하체 가운데에서 안정성을 책임지는 곳이기 때문이다.

강한 둔근은 척추를 안정적으로 지탱하고, 고관절과 무릎의 부담을 줄여 전반적인 몸의 자세도 바르게 한다.

또 크기가 큰 근육인 만큼, 단련하면 기초대사량을 높여 체지방을 빼는 데 도움이 된다.

기초대사량은 우리 몸이 생명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에너지로, 아무 운동을 하지 않아도 소모되므로 높을수록 다이어트에 유리하다.

둔근 운동 필요하다는 신호는?

둔근 운동을 빠르게 시작해야 한다는 신호가 있다.

아무리 바지를 올려 입어도 엉덩이 부분이 헐렁해지고

딱딱한 의자에 앉으면 엉덩이가 아프고

걸을 때 일직선으로 걸으려 하면 나도 모르게 비틀거리고

다리가 시리거나 저리고 걷는 거리가 급격히 줄었다면 둔근 운동을 규칙적으로 해야 한다.

힙 익스텐션은 대표적인 둔근 운동으로, 한 발로 서는 불안정한 상태에서 몸이 균형을 맞추기 위해 둔근에 자연스럽게 힘이 들어가게 한다.

동작=양 발을 골반 너비로 벌린다. 무릎은 곧게 펴고, 상체는 곧게 세운다.

버티는 쪽 발로 바닥을 움켜쥐어 발목의 안정성을 확보한다. 무릎은 곧게 펴고, 엉덩이에 힘을 줘 균형을 잡는다.

반대쪽 발은 무릎을 편 상태로 엉덩이 근육에 집중하면서 다리를 뒤로 뻗는다. 상체가 앞으로 숙여지거나 허리가 꺾이기 전까지만 다리를 뻗는다. 준비 자세로 돌아온다.

다리를 뒤로 뻗을 때 숨을 내쉬고, 준비 자세로 돌아오면서 숨을 들이마신다. 운동 강도를 높이고 싶다면 루프 밴드나 힙업 밴드를 다리 사이에 끼고, 운동한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