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근길 지하철에서 쓰러진 사람 심폐소생술이 필요할까?

출근길 지하철에서 쓰러진 사람 심폐소생술이 필요할까?

출근길 지하철에서 쓰러진 사람 심폐소생술이 필요할까?

지하철에서 실신한 사람 심폐소생술을 해야 할까?

때때로 스트레스를 받거나 오래 서 있거나 더운 곳에 있을 때, 특별한 이유 없이 갑자기 쓰러지거나 경련을 일으키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출근길 지하철에서 이런 장면을 목격한 적이 있을지도 모릅니다

이런 증상은 흔히 공황장애나 뇌전증으로 오해받지만, 사실은 부교감신경 중 하나인 미주신경의 활성이 원인일 수도 있습니다

미주신경성 실신은 저혈압과 비슷한 원리로 발생하는 가장 흔한 형태의 실신입니다

실제로 실신으로 응급실에 오는 환자의 약 절반 정도가 이 유형으로 진단되며, 인구의 약 20~30%가 일생에 한 번 이상 경험할 만큼 흔합니다

남성보다 여성이 약 1.5배 더 많이 겪는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미주신경성 실신의 원인은 자율신경계의 일시적 불균형입니다

사람이 누워 있다가 일어설 때, 중력의 영향으로 약 800ml의 혈액이 다리 쪽으로 급속히 이동하게 됩니다

자율신경계는 뇌로 충분한 혈액이 공급되도록 심박수와 혈관 긴장도를 높여 뇌 혈류를 유지하고자 합니다

그러나 미주신경성 실신을 겪는 사람은 심장 내 기계수용체가 오작동하여 잘못된 신호를 보내어 뇌가 혈액이 충분하다고 착각하게 만듭니다

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과의 윤지은 교수에 따르면, 이 신호는 미주신경을 통해 뇌간으로 전달되고 뇌간에서 부교감신경이 활성화됩니다

결과적으로 서맥이 발생하고 교감신경계 활동이 억제되어 혈관이 확장되면서 저혈압이 유발돼, 뇌로 가는 혈류가 줄어들어 순간적인 의식 소실이 생긴다고 합니다

미주신경성 실신의 위험인자로는 감정적 스트레스, 기립성 자극, 신체적 자극, 환경적인 요인들과 특정 약물이 있습니다

공포나 불안 같은 감정적 요인부터 긴 시간 서 있거나 자세 변화와 같은 물리적 요인까지 다양합니다

또한 배변이나 배뇨 같은 신체반응과 더운 날씨, 밀폐된 공간도 영향을 줄 수 있으며 항고혈압제나 이뇨제 같은 특정 약물도 원인일 수 있습니다

실신의 전조 증상으로는 어지러움, 시야 흐림, 식은땀, 메스꺼움, 심장 두근거림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실신 동안에는 짧은 시간 의식을 잃거나 간단한 경련성 움직임이 있을 수 있습니다

다행히도 대부분 빠르게 회복되지만 일시적인 혼란과 피로가 동반될 수 있습니다

만약 실신이 빈번하게 일어나거나 다칠 위험이 크다면 치료가 필요합니다

특히 고령자나 특정 직업군에서는 약물 치료를 고려할 수 있고, 서맥이 심각하다면 심박조율기 치료도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경우, 생활 습관 교정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유발 요인을 피하고 전조 증상을 느꼈을 때 즉시 앉아 휴식을 취하며, 충분한 수분 섭취와 하체 근력 강화 운동도 도움이 됩니다

카페인, 알코올은 혈관 확장을 일으키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윤 교수는 미주신경성 실신이 생각처럼 심각한 질환의 징후는 아니며, 적절한 예방과 관리로 충분히 통제할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첫 실신 발생 시에는 전문의의 진료를 통해 다른 심각한 원인이 없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며, 특히 경련과 유사한 움직임을 보일 수 있어 뇌전증과 혼동될 수 있는 만큼 정확한 진단과 평가가 필요하다고 덧붙였습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