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okmark_border깊은 잠 푹 못 자는 사람들 치매 위험 커 이렇게 극복해야

깊은 잠 푹 못 자는 사람들 치매 위험 커 이렇게 극복해야

깊은 잠 푹 못 자는 사람들 치매 위험 커 이렇게 극복해야

발치 중 턱 부러진 여성 딸깍 소리와 함께 피 쏟아져

렘수면에 들어가기까지 오래 걸리고 깊이 자지 못하는 사람들은 치매 위험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수면의 20~25%를 차지하는 렘수면은 꿈을 꾸면서 비교적 복잡한 정보를 뇌에 저장하는 단계다.

먼 친척 집에 가는 방법이나 처음 배운 체스를 두는 방법 등 복잡한 정보를 통합하기 위해 꼭 필요하다.

렘수면 시간이 적으면 기억력이 떨어지거나 불안·우울감 등을 겪을 수 있다.

렘수면 때는 근육이 무력해지고, 호흡·맥박이 불규칙하고, 안구가 빠르게 움직이는 게 특징이다.

미국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대 정신건강·행동과학과 유에 렝 교수, 중국 베이징대 공동 연구팀은 평균 70세

성인 128명을 대상으로 렘수면의 시기와 길이가 알츠하이머병 관련 치매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다.

연구팀은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수면 중 뇌파와 안구 운동, 호흡 등의 신체 기능을 조사하는 수면다원검사를 통해 렘수면 시간과 수면의 질을 평가했다.

또한 뇌 영상을 촬영하는 PET 검사로 알츠하이머병의 주요 원인 물질인 아밀로이드 베타 축적량을 비교·분석했다.

참가자 중 64명은 알츠하이머병을, 41명은 가벼운 인지 장애을, 23명은 정상적인 인지 기능을 유지하고 있었다.

연구 결과, 일찍 렘수면에 진입하는 그룹은 잠이 든 뒤 98분 안에 렘수면에 도달했다.

렘수면이 지연되는 그룹은 193분 이상이 지나서야 렘수면에 들어갔다. 또한 렘수면이 지연되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알츠하이머병 원인으로 지목되는 단백질인 아밀로이드와 타우 수치가 각각 16%, 29% 더 많았다.

이는 몸이 휴식을 취하고 뇌가 정보를 처리하는 수면 단계인 렘수면 단계가 짧아질수록 알츠하이머병 위험이 높아지는 것을 의미한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연구팀은 “알츠하이머병이 발생할 위험이 있는 사람은 비렘수면에서 렘수면으로의 전환이 촉진되도록 건강한 수면 습관을 가져야 한다”며

“렘수면을 감소시키는 특정 항우울제와 진정제를 복용하는 환자는 의사와의 상담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수면은 비렘수면과 렘수면이 90~120분 주기로 다섯 번 정도 반복된다.

이런 수면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불면증, 수면 무호흡증과 같은 수면 장애를 겪게 된다.

수면 장애를 치료할 땐 약물 치료와 비약물적 치료를 함께 진행하는 편이다.

특히 가장 흔한 수면 장애인 불면증은 수면 습관과 수면 환경을 개선하는 게 중요하다.

매일 규칙적인 운동을 하고 침실은 어둡고 조용하게 유지해야 한다.

스트레스를 줄이고 카페인이 들어간 커피나 녹차 등을 오후 시간대에는 안 마시는 게 좋다.

환경을 바꿔도 개선되지 않는다면 의사의 처방에 따라 수면제를 복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