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에게 건강한 공포 가 중요한 이유
의사에게 건강한 공포 가 중요한 이유
오래 앉아있어야 하는 사람 이것 하면 심혈관질환 위험 줄어
뇌의 측두엽 바로 아래에 동전 하나의 크기도 안 되는 편도체(amygdala)가 있다.
아주 작은 크기지만 인간이 공포를 처리하는 시작 지점이라고 보면 된다.
편도체는 뇌에서 감정을 담당하는 기관인 변연계(limbic system)의 우두머리와도 같다.
변연계는 대뇌피질, 편도체, 시상, 해마가 서로 엉켜서 만들어져 있으며,
인간의 호감, 기억, 공포 같은 것들에 눈금을 매기는 계기판 같은 역할을 한다.
기본적이고 생리적인 욕구, 즉 음식과 섭식, 성, 분노 같은 것들이 변연계와 관련된다.
그래서 공포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면 일반적으로 편도체에 초점을 맞춘다.
전신마취를 하지 않고 수술대에 누웠던 기억이 있다.
하반신만 마취하고 다리수술을 했을 때였다.
아무런 감각이 없는 내 다리는 다리 사이에 끼워 놓은 통나무같이 느껴졌고,
그걸 가지고 째고 두드리고 하는 소리를 듣고 있자니 강심장이던 나에게도 새로운 공포체험이었다.
스스로 편도체를 포함한 변연계에 이상이 없다는 걸 그 공포를 통해 느낄 수 있었다.
그리고 잠시나마 그 편도체가 기능을 멈추면 좋겠다는 생각도 했다.
양쪽 편도체가 모두 손상된 특이한 여성 환자에 대한 글을 읽은 기억이 있다.
다른 감정은 다 정상인데 공포만큼은 표현할 수도 느낄 수도 없었다고 한다.
연구자들은 그녀를 놀라게 하려고 갖은 방법을 다 동원했다. 뱀이나 거미를 풀어놓고 공포영화를 보여주기도 했다.
귀신 나오는 집이라는 곳도 찾아갔지만 잠깐 움찔한 반응만 있을 뿐이었다.
그녀가 강철같은 여자여서가 아니다.
그냥 공포를 느끼지 못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 여성이 공포를 느끼지 못해서 부럽다고 말하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오히려 무서워서 소리치는 여성이 자연스러워 보이고 보호해주고 싶은 마음이 드는 것이다.
인간의 감정은 모두 필요하다.
공포도 마찬가지다.
두려움을 느껴야 공포의 적으로부터 나를 지키기 위해 노력할 수 있는 것이다.
의사도 환자도 모두 인간이다.
공포는 이 둘 모두에게 필요한 감정이다.
의사가 가지는 공포의 무게감
의사에게 건강한 어느 직업이든 최악의 공포는 존재한다.
이전에 다른 직업의 친구들에게 직업적인 공포에 관해 물었던 적이 있다.
일하면서 두려운 것이 있냐는 것이었다.
다양한 대답이 있었다.
치명적인 실수를 하거나, 중요한 프로젝트를 망하게 하거나, 투자한 것이 완전히 실패하거나,
잘못을 아내에게 들키거나, 가족들에게 무시당하거나, 뭐 그런 것들이었다.
하지만 의사들이 가지는 공포감은 누군가를 죽일 수도 있다는 것, 신체적으로 심각한 해악을 끼칠 수도 있다는 사실이다.
누군가를 죽게 할 수 있다는 공포는 다른 공포와는 다른 무게감을 가질 수밖에 없다.
내가 틀니를 해준 환자가 구강암으로 결국 사망한 적이 있다.
환자의 보호자들이 여러 명 찾아와 틀니 때문에 구강암이 생겨 사망했다며 나를 협박했다.
의료사고라는 것이었다.
의학적으로 그렇지 않다는 것을 설명하고 결국 잘 해결되었지만, 순간 살인자로 몰리는 공포감은 피할 수 없었다.
내가 일하는 치과는 사람의 생명과 직접 연관이 없어서 의료사고의 스트레스가 덜하다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다.
치과는 다양한 환자들을 본다.
아주 갓난아이부터 몸을 가누지 못하는 노인들, 심지어 들것에 실려서 온 중환자들도 봐야 한다.
치과 진료 중에 쇼크가 온 적도 있고, 빼낸 사랑니가 기도로 들어가 응급실을 따라간 적도 있다.
수많은 외과적 시술이 이루어지는 곳이기 때문에 한시도 긴장을 놓쳐서는 안 되는 곳이 치과다.
치과도 그런데 응급실 같은 환경은 어떻겠는가.
공포를 잘 다스려야 하는 이유
인턴, 레지던트의 과정을 거치면서 스트레스와 공포의 지수가 감소한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임상적인 지식과 경험이 부족한 상태에서는 환자를 대하다 마주치는 공황 상황에 대처하지 못하는 스트레스가 높은 반면,
비슷한 경험이 누적되었을 때에는 스트레스가 줄어들고 의사결정 능력도 향상된다는 것이다.
무지(無知)에서 오는 공포가 심했다는 이야기다.
끊임없이 연구하고 경험을 쌓는 것이 공포를 줄이는 데 필요하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의사라면 누구나 누군가에게 해를 끼칠 수 있다는 두려움을 잊지는 말아야 한다.
생명을 다루는 분야는, 경외와 겸손을 지속시킬 수 있는 ‘건강한 공포’가 필요한 것이다.
다리를 수술하고 있을 때도 비슷한 경험을 했다.
수술 중 새로운 병소가 발견되고, 원래 계획했던 도구가 잘 맞지 않아 새로운 접근법으로 바꿔 시술하기로 했다.
당시 수술실에서 주치의에게 소리를 치는 교수, 기구를 떨어뜨려서 혼나는 인턴, 등 어수선함이 있었다.
하지만 경험이 많은 교수님은 카리스마 있게 그 자리를 잘 정리하고 무사히 수술을 마쳤다.
자세한 것은 모르고 소리로만 분위기를 파악했지만 패닉상태가 아닌 적절한 무게감의 ‘건강한 공포’가 수술실을 지배했던 것 같다.